tornado3 출시 이후 코루틴의 개념이 강화되어 비동기 프로그래밍에서는 원래의 gen.engine을 대체하여 현재의 gen.coroutine이 되었습니다. 이 데코레이터는 원래 토네이도에서 비동기 프로그래밍을 단순화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콜백 함수 작성을 피하여 일반적인 논리적 사고에 따라 개발을 보다 일관성 있게 만듭니다. 간단한 예는 다음과 같습니다:
class MaindHandler(web.RequestHandler):
@asynchronous
@gen.coroutine
def post(self):
client = AsyncHTTPClient()
resp =yield client.fetch(https://api.github.com/users")
if resp.code == 200:
resp = escape.json_decode(resp.body)
self.write(json.dumps(resp, indent=4, 구분 기호=( ' ,', ':')))
else:
resp = {"message": "무언가를 가져올 때 오류 발생"}
self.write(json. dump (resp, indent=4, 구분 기호={',', ':')))
self.finish()
yield 문 다음에 ioloop는 이벤트를 등록하고 기다립니다. resp가 반환된 후 실행이 계속될 때까지 이 프로세스는 비동기식입니다. REST 스타일 API를 빌드할 때 JSON이 형식화된 데이터에 액세스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토네이도와 함께 제공되는 json.dumps가 사용됩니다. .dumps를 사용하여 데이터 형식을 지정하면 브라우저에 표시될 때 더 친숙해집니다. 실제로 escape.json_encode는 json.dumps를 패키지로 제출할 때의 간단한 래퍼입니다. 저자는 escape가 모든 json 기능을 제공할 의도는 없다고 응답했습니다.
Gen.Coroutine 원리
이전 블로그에서 토네이도의 비동기 기능을 사용하려면 비동기 라이브러리를 사용해야 한다고 언급한 바 있습니다. 그렇지 않으면 단일 프로세스가 차단되어 비동기 효과가 전혀 구현되지 않습니다. Tornado의 비동기 라이브러리 중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자체 AsyncHTTPClient와 이를 기반으로 구현된 OpenID 로그인 확인 인터페이스입니다. 또한 여기에서 더 많은 비동기 라이브러리를 찾을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MongoDB 드라이버를 포함합니다.
버전 3.0 이후에는 gen.coroutine 모듈이 더욱 두드러집니다. 코루틴 데코레이터는 콜백에 의존하는 비동기 프로그래밍을 동기 프로그래밍처럼 보이게 만들 수 있습니다. 그중에는 Python 생성기의 Send 함수가 있습니다. 생성기에서 Yield 키워드는 종종 일반 함수의 반환과 비교됩니다. iterator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next()를 사용하여 항복 결과를 반환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제너레이터를 사용하는 또 다른 방법이 있는데, 바로 send 메소드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생성기 내부에서는 생산량 결과를 변수에 할당할 수 있으며, 이 값은 외부 생성기 클라이언트를 통해 전송됩니다. 예를 들어보세요:
def test_yield():
pirnt "test yeild"
say = (yield)
인쇄 내용
if __name__ == "__main__":
client = test_yield()
client.next()
client.send("hello world")
출력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test yeild
hello world
이미 실행 중인 함수는 이를 호출하는 클라이언트가 send 메서드를 사용할 때까지 일시 중지되고 원래 함수는 계속 실행됩니다. 여기서 gen.coroutine 메서드는 필요한 작업을 비동기식으로 실행한 다음 결과가 반환될 때까지 기다렸다가 원래 함수로 보내기 때문에 계속 실행됩니다. 이런 방식으로 동기식으로 작성된 코드는 다음을 달성합니다. 비동기 실행의 효과.
Tornado 비동기 프로그래밍
코루틴을 사용하여 함수 분리를 통한 비동기 프로그래밍을 구현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gen.coroutine
def post(self):
client = AsyncHTTPClient()
resp = Yield client.fetch("https://api.github.com/users")
if resp == 200:
body = escape.json_decode(resy .body)
else:
body = {"message": "클라이언트 가져오기 오류"}
logger.error("클라이언트 가져오기 오류 %d, %s" % (resp .code, resp.message))
self.write(escape.json_encode(body))
self.finish()
는 나중에 이렇게 될 수 있습니다. 함수로 변경 ;
@gen.coroutime
def post(self):
resp = Yield GetUser()
self.write(resp)
@gen.coroutine
def GetUser():
client = AsyncHTTPClient( )
resp = Yield client.fetch("https://api.github.com/users")
if resp.code == 200:
resp = escape.json_decode( resp.body)
else:
resp = {"message": "클라이언트 오류 가져오기"}
logger.error("클라이언트 가져오기 오류 % d, %s " % (resp.code, resp.message))
gen.Return(resp) 올리기
여기서 비동기식을 함수에 캡슐화하면 일반 프로그램처럼 return 키워드를 사용하여 반환하는 대신 gen 모듈에서 gen.Return 메서드를 제공합니다. 이는 raise 메소드를 통해 달성됩니다. 이는 생성기를 사용하여 구현된다는 사실과도 관련이 있습니다.
코루틴을 사용하여 예약된 작업 실행
Tornado에는 다음과 같은 방법이 있습니다.
tornado.ioloop.IOLoop.instance().add_timeout()
이 메소드는 time.sleep의 비차단 버전으로, 두 가지 매개변수인 시간 길이와 기능. 함수가 호출된 후의 시간을 나타냅니다. 여기서는 ioloop을 기반으로 하므로 비차단입니다. 이 방법은 클라이언트 긴 연결 및 콜백 함수 프로그래밍에 자주 사용됩니다. 그러나 일부 예약된 작업을 실행하는 데 이를 사용하는 것은 무력합니다. 일반적으로 예약된 작업을 실행할 때는 이를 사용할 필요가 없습니다. 그런데 heroku를 사용하다 보니 신용카드를 등록하지 않으면 간단한 웹 애플리케이션의 호스팅만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실행할 예약된 작업을 추가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그런 방법을 생각해냈습니다. 여기서는 Github API 인터페이스를 통해 주기적으로 데이터를 가져오는 데 주로 사용합니다. 사용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Decorator
def sync_loop_call(delta=60 * 1000):
"""
func down을 기다린 후 add_timeout을 처리하세요
"""
def Wrap_loop(func):
@ Wraps( Func)
@geen.coroutine
DEF WRAP_FUNC (*ARGS, ** KWARGS):
Options.logger.info ("%R 시작 % 함수 D" %
> ~ e))
옵션 .Logger.info("%R 함수 종료 AT %D" %
(Func .__ Name__, int (Time.time ())))
tornado.ioloop.instance ( ).add_timeout(
datetime.timedelta(milliseconds=delta),
Wrap_func)
return Wrap_func
return Wrap_loop
작업 함수
@sync_loop_call(delta=10 * 1000) def Worker(): """ 뭔가를 하세요
" ""
작업 추가
if __name__ == "__main__": 작업자() 앱. Listen(options.port) tornado.ioloop.IOLoop.instance().start()
이렇게 한 후 웹 애플리케이션이 시작되면 예약된 작업이 실행되기 시작합니다. 이는 이벤트 기반이며 비동기적으로 실행되므로 웹 서비스의 정상적인 작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물론 작업이 차단되거나 계산 집약적일 수는 없습니다. 여기서는 주로 데이터를 캡쳐하는데, 토네이도와 함께 제공되는 비동기 캡쳐 방식을 사용합니다.
전체 예제를 보려면 내 Github를 참조하세요. 이 프로젝트는 heroku를 기반으로 합니다. Github 사용자 활동 순위 및 사용자 지역 분포를 표시하는 데 사용됩니다. Github-Data를 방문하여 볼 수 있습니다. 중국에서는 heroku가 차단되어 있어서 접근하려면 벽을 타고 올라가야 합니다.
요약
Tornado는 비차단 웹 서버이자 웹 프레임워크이지만, 사용 시 다음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only use 비동기 라이브러리만이 비동기 기능을 실제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물론 때로는 앱 자체가 그다지 까다롭지 않기 때문에 차단이 특별히 심각하지 않으면 문제가 없습니다. 또한, 비동기 프로그래밍을 위해 코루틴 모듈을 사용할 때, 함수를 함수로 캡슐화할 때, 함수 실행 중에 오류가 발생하더라도 이를 잡아내지 않으면 던져지지 않기 때문에 디버깅이 매우 어렵다.